Focus

Best

SPOTLIGHT

오지원 조교수 해부학교실

전장 유전체 연구의 결과들이 의학과 인간 개체를 바라보는 관점을 변화시킬 것 특이적인 질병 발생 근원을 Somatic Mosaicism 관점에서 함께 연구할 계획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분야에 대해 소개해주십시오. 현재 저희 연구실은 인간의 발생 과정과 Mosaicism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기증된 시신에서 최적화된 세포 배양을 수행해 장기가 어떻게 생겨나는지, 전능성을 가진 세포가 발생 과정 중 언제, 어떻게 장기가 되는지, 그리고 이들 세포가 평생 동안 어떻게 변하는지 시신 유래 세포의 전장 유전체 분석을 통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굳이 하나의 키워드를 꼽자면 Somatic mosaicism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22년 연구실을 연세의대로 옮긴 후에는, 단순한 초기 발생 단계를 넘어 개체 수준에서 어떻게 장기가 만들어지는지, 그리고 이들 장기가 어떤 돌연변이로 인해 질병에 더 취약한지 연구 범위를 확장했습니다. 특히 각각의 세포들이 언제 운명이 결정되는지, 종양 세포나 질병 세포로 운명이 결정된 세포가 존재하는지, 이들 종양 세포가 어떤 trajectory를 거쳐 정상 세포에서 종양이 되고, 종양이 된 이후에도 어떻게 분화하는지 활발하게 확장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즉 시신에서 얻은 세포의 전장 유전체를 통해 인간의 전 주기 세포분열 발전사를 연구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인간의 전 주기 세포분열 발전사라는 분야의 동향과 전망이 궁금합니다. 개인적으로 판단하기에 현재 이 학문 분야(Somatic mosaicism)는 이제 막 문이 열리고 있는 중이며, 현재 개체 내의 다양한 병리적 생리적 Cellular evolutionary marching을 Somatic mosaicism이라는 이름으로 해석하는 시도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시점에서 후대에 회자될 중요한 논문들이 주요 저널(Nature, Science, Cell)에 발표되고 있고, 앞으로도 5년간 계속 나올 것이라 보고 있습니다. 운 좋게 저희 연구실도 2021년에 <네이처(Nature)>에 교신저자로 보고했고(Park, S., Mali, N.M., Kim, R. et al. Clonal dynamics in early human embryogenesis inferred from somatic mutation. Nature 2021, https://rdcu.be/c1iH2), 현재도 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해서 모든 연구원들이 함께 노력하고 있습니다. 감히 장담하자면 머지않은 미래에 현재 이 분야에서 나오는 결과들이 의학과 인간 개체를 바라보는 관점을 변화시킬 것이라 예상합니다. 즉 비용이 저렴해진 전장 유전체의 체성 돌연변이(Somatic Variants) 분석을 통해 다양한 질병들이 Somatic mosaicism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설명되고, 질병에 대한 분석과 해석, 진단과 치료가 Mosaicism과 연계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 각 장기들은 몇 개의 초기 세포로 만들어지는지, 그렇게 만들어진 장기들이 왜 특정 자극과 환경에 취약한지, 왜 특정 부위에만 특정 질환이 호발하는지, 그리고 왜 Germline mutation을 가진 환자들이 특수한 위치에만 질병이나 암이 발생하는지 등에 대한 근원적 답을 구할 지식을 우리가 만들어낼 수 있다고 보고, 이에 대한 연구를 현재 수행하고 있습니다.(이미지 : 셔터스톡)현재 연구의 내용과 특징에 대해 설명해주십시오. 좀 더 구체적으로는 Whole Genome Sequencing을 기준으로 Wet과 Dry 실험 모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Wet 실험 쪽으로는 Single cell DNA sequencing, Long-read DNA sequencing(PacBio HiFi, Nanopore 등)과 같은 최신 분자생물학 실험과 시신 부검에서 진행되는 organoid, clonal expansion, LCM과 같은 세포 배양 실험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와 동시에 전장 유전체 분석과 NGS 분석 등을 수행하는 Dry 실험을 연구실 내부에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하나의 연구가 어떻게 시작되어 어떻게 끝나는지를 우리 실험실 안에서 모두 살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각 분야 별로 다양한 분들과 협업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저희에게 부족한 부분이 있더라도, 이 분야를 선도하는 미국 빅가이 랩들과 국내 최고 수준의 임상 교수님들과 다양한 공동 연구를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시점에서 중요한 질문이 무엇인지, 그 문제를 풀기 위해서 어떤 도구들이 존재하는지, 그리고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고, 할 수 없거나 도움이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배울 수 있다는 점이 저희 연구실의 장점인 것 같습니다.장기에 관한 연구라면 거의 모든 임상 의사들이 관심을 가질 법한데, 향후 다른 분야와 협업할 가능성이 있나요? 현재 시점에서는 연세의대의 다양한 임상 교수님들 및 기초 교수님들과 함께 다양한 장된에 관해 깊은 연구를 공동으로 수행하고 싶습니다. 예컨대 우리 실험실은 심장, 신장, 간, 피부, 전이된 종양, 혈액, 면역 세포, 뇌, 두경부, 내분비 기관, 위, 소장, 대장, 눈, 귀 등 기증된 시신의 모든 장기에 적용할 수 있는 실험 도구를 갖추고 있기에, 여러 교수님들의 임상 전공을 응용해 더 깊이 있는 연구를 수행할 수 있으며, 특이적인 질병 발생의 근원을 Somatic Mosaicism의 관점에서 함께 연구할 수도 있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언제나 연락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앞으로 어떤 계획을 갖고 계신가요? 당부하기는, 해부학을 더 이상 고전적인 학문으로 바라보지 않으면 좋겠습니다. 고전적인 눈으로 바라보면 해부학은 오래되고 발전이 없는 학문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특히 최신 기법을 활용하는 의과대학의 다른 과목과 비교하면 더 그렇겠지요. 하지만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보면 해부용으로 기증된 시신은 동질성을 가진 한 사람의 다양한 조직과 이질적인 세포를 동시다발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를 제공합니다. 이렇듯 해부학을 새롭게 바라보면서 Mosaicism의 세상에 뛰어들어 함께 연구할 수 있기를 진심으로 기대합니다. 끝으로, 숭고한 희생정신으로 자신의 몸을 연구와 교육을 위해 기증하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이분들의 기증이 헛되지 않게, 장기적으로 연세의대와 세브란스병원이 시신 연구를 통한 인간 발생학 연구의 새로운 중심지가 될 수 있도록 기초연구를 수행하는 의사과학자로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오지원 교수 | 경북대 의대를 졸업하고, 면역학으로 의학석사를, 응용의과학-면역학으로 이학박사를 받았다. 2022년부터 해부학교실 해부-발생학 세부전공으로 조교수로 일하고 있다. 첨단진단예측 의료기술연구소 연구원(2007-2012), 경북대학교 병원 생명의학연구원 조교수(2012-2013),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박사후연구원(2013-2016), 경북대학교병원 모발이식센터,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경북대학교병원 생명의학연구원에서 조교수와 부교수로 재직했다(2016-2022). 정무 학술상(2016), 경북대학교병원 최우수학술상(2018), 대한민국 혁신기업 대상(2020),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우수연구교수상(2018, 특별성과부문-Science, 2022, 특별성과부문-Nature)을 수상한 바 있다. 

유한수 조교수 신경과학교실

강남세브란스병원 신경과, 세부전공은 퇴행성 뇌질환 및 이상운동질환  파킨슨병 및 루이소체치매의 질병조절치료제 개발이 꿈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분야에 대해 소개해주십시오. 다양한 퇴행성 뇌질환 및 이상운동질환 중에서 파킨슨병 및 루이소체치매를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두 병은 공통적으로 루이소체(Lewy body)라는 inclusion이 세포 내에 쌓이고 퍼지면서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고 진행시키는 것이 특징입니다. 많은 연구자들이 이 병을 치료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하고 있으나, 안타깝게도 아직까지 병의 경과를 늦추거나 멈출 수 있는 치료는 전무한 상황입니다. 저는 임상과 기초, 두 가지 측면에서 이 병의 기전을 이해하고 특징을 재정립하며, 나아가 치료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초고령화시대에 파킨슨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해당 분야의 동향과 전망이 궁금합니다. 임상적으로는 구조적 뇌영상인 MRI와 기능성 뇌영상인 PET를 이용해 파킨슨병 및 루이소체치매의 다양한 임상 증상의 기전을 밝히고, 파킨슨병과 루이소체치매는 다른 병인지, 아니면 하나의 연속체(continuum)인지를 규명하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기초적으로 두 가지 키워드를 가지고 연구 중인데, 하나는 clinical heterogeneity이고 다른 하나는 selective vulnerability입니다. 두 질환 모두 α-synuclein이라는 단백질이 응집되면서 루이소체를 이루는 병인데, 전혀 다른 두 표현형을 보이는 데다가 심지어 파킨슨병 내에서도 임상 발현이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저는 α-synuclein strain의 다양성이 clinical heterogeneity를 보이는 주요 원인으로 생각되어 이 문제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α-synuclein 또는 루이소체가 모든 신경계 구조물이 아니라 특정한 신경구조물들을 침범하면서 퍼지는데, 왜 특정한 신경구조물에 더 선호도를 보이는지, 어떤 연결성(connectome)을 통해 전파되는지 여러 가설을 세우고 연구하고 있습니다.질병조절치료(disease modifying treatment)가 전무하던 퇴행성 뇌질환 분야에서, 2021년 알츠하이머병의 면역치료제가 최초로 FDA 승인을 받으면서 퇴행성 뇌질환 치료 분야는 새로운 국면을 맞았습니다. 파킨슨병 및 루이소체치매에 대해서도 앞으로 질병조절치료 관련 연구가 집중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저 역시 임상 및 기초 연구를 통해 병의 기전을 더욱 정확히 이해하고 질병을 조절할 수 있는 치료제를 개발하는 중개연구자로 성장하고 싶습니다.(이미지 : 셔터스톡)중개연구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향후 다른 분야와의 협업 가능성은 어떤가요? 이제 연구를 시작하는 단계라 아직 다른 분야와의 협업은 제대로 시작하지 못했습니다. 파킨슨병을 포함한 다양한 퇴행성 뇌질환에 관심 있는 교수님들이 편하게 연락을 주시면 최선을 다해 협업하면서 좋은 연구를 하고 싶습니다. 특별히 저는 궁극적으로 치료제를 개발하고 싶기 때문에 약물 개발 및 임상시험과 관련된 분야와의 협업을 지금부터 조금씩 진행해나가기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어떤 계획을 갖고 계신가요? 중점연구분야에서 소개했듯이, 임상적으로는 류철형 교수님과 함께 multimodal neuroimaging을 이용한 연구를 진행하고, 기초적으로는 이필휴 교수님과 함께 α-synuclein strain에 초점을 맞춰서 clinical heterogeneity 및 selective vulnerability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려고 합니다. 임상 경험, 영상분석, 기초 및 중개연구 분야에 균형 있게 정진하면서 관련 분야를 세계적으로 선도할 수 있는 의학자가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최종적으로는 파킨슨병 및 루이소체치매에 대한 질병조절치료제를 개발하는 것이 꿈이고, 이를 통해 퇴행성 뇌질환으로 고통받는 많은 환자들과 그들을 간병하는 보호자들에게 희망을 주는 의사이자 의학자가 되고 싶습니다.유한수 교수 | 2017년 세브란스병원에서 강사생활을 시작해 파킨슨병을 포함한 이상운동질환을 연구하는 손영호, 이필휴 교수, 그리고 치매를 연구하는 예병석 교수의 지도 아래 퇴행성 뇌질환 및 이상운동질환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시작했다. 2019년부터는 이필휴 교수의 지도로 연세의대 미생물학교실 유제욱 교수의 실험실에서 연수하며 세포 실험을 배웠다. 2020년에는 세브란스 선도연구자 양성 프로젝트에 선발되어, 퇴행성 뇌질환 기초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를 가진 펜실베이니아대학교의 Center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 Research에서 2년간 연수하며 동물 실험을 배웠다. 2022년 3월부터 강남세브란스병원 조교수로 일하며 류철형 교수와 함께 임상진료 및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정석종 조교수 신경과학교실

용인세브란스병원 신경과, 퇴행성 뇌질환(파킨슨병, 치매) 및 이상운동질환 진료 및 연구 파킨슨병과 관련한 바이오마커 및 유전체 연구에 관심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분야에 대해 소개해주십시오. 아직 연구 경력이 길지 않지만, 제가 세브란스병원 손영호 교수님, 이필휴 교수님의 지도 하에 강사 시절부터 함께 진행해왔던 주요 연구 분야는 첫째, 파킨슨병에서 동반되는 인지 장애, 둘째, 파킨슨병의 아형을 분류하고 병의 진행을 예측하는 신경 영상 및 임상적 바이오마커 발굴입니다. 파킨슨병은 흔히 치매를 동반하는데, 10년 이상 파킨슨병을 앓은 환자의 30-40% 정도에서 치매가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치매가 동반될 경우, 예후가 불량해지고 보호자들의 간병 부담도 크게 증가됩니다. 따라서 초기에 치매 발병 가능성이 높은 파킨슨병 환자를 선별해 적극적으로 인지 기능을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에 초기 파킨슨병 환자들의 신경인지검사(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및 신경영상(Brain MRI, 18F-FP-CIT PET) 분석 데이터를 이용해 파킨슨병에서 치매 발병 위험도를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했습니다. 특히 신경인지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한 예측 모델의 경우, 진료 현장에서 쉽게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서양과는 다르게 전두엽 및 실행 능력(frontal/executive function)이 파킨슨병 치매 발병에 중요함을 보임으로써 한국형 파킨슨병에 특화된 치매 예측 모델이라 할 수 있습니다.또한 파킨슨병의 아형을 분류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운동예비능(motor reserve)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여, 파킨슨병의 임상적 다양성을 설명하고 병의 진행 속도를 예측하고자 합니다. 파킨슨병에서 운동예비능이라는 개념이 궁금합니다. 해당 분야의 동향과 전망은 어떻습니까?운동예비능이란, 파킨슨병에서 퇴행성 변화를 견뎌내는 환자 개개인의 능력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도파민 신경세포가 비슷한 정도로 소실되었다고 하더라도 어떤 파킨슨병 환자는 심한 운동 증상을 보이는 반면, 어떤 파킨슨병 환자는 경한 운동 증상을 보이는데, 이러한 환자 개개인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이 운동예비능입니다. 특히 운동예비능과 관련된 뇌의 구조적, 기능적 네트워크를 규명하고 운동예비능이 파킨슨병의 장기적인 예후와 관련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파킨슨병의 진행을 늦추기 위해 후천적으로 운동예비능을 향상시키는 노력(공부, 운동, 여가 활동 등)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근거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파킨슨병에서 입증된 disease modifying therapy는 없지만, 다양한 임상 양상 및 예후를 보일 수 있는 파킨슨병의 아형을 분류하고 이에 따른 맞춤형 치료를 계획할 수 있다면 파킨슨병 환자들의 병의 경과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이미지 : 셔터스톡)향후 다른 분야와의 협업 가능성은 어떻게 기대하고 계신지요?향후 연구는 파킨슨병의 아형을 분류하고 진행을 예측하며 환자 맞춤형 치료를 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발굴에 집중하고자 합니다. 현재까지 진행해온 신경영상 바이오마커 연구뿐만 아니라, 환자 혈액에서 유용한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기 위해 용인세브란스병원 파킨슨병 환자들의 혈액 샘플도 열심히 모으고 있습니다. 특히 어떤 질환의 임상적 다양성을 설명하는 데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유전적 요인이므로, 파킨슨병과 관련해 유전체 연구의 진행이 필수적이라고 생각됩니다. 이에 바이오마커 혹은 유전체 연구 경험이 있는 교수님들이 계시다면 저와 함께 파킨슨병에도 적용해볼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본격적인 연구를 앞두고 어떤 포부를 갖고 계신지 말씀해주십시오. 최근 노인인구가 급증하면서 퇴행성 뇌질환의 유병률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퇴행성 뇌질환 분야에 입문한 지 몇 년 되지 않은 초보 연구자이지만, 조금이나마 치료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의사 및 의학자가 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정석종 교수 | 퇴행성 뇌질환(파킨슨병, 치매) 및 이상운동질환 진료 및 연구를 하고 있다. 2017년부터 세브란스병원에서 손영호 교수, 이필휴 교수, 예병석 교수의 지도 하에 펠로우를 시작했고, 2020년 용인세브란스병원이 새롭게 개원할 때 임상조교수로 임용되어 2022년 현재 조교수로 있다. 용인세브란스병원은 2022년 현재 신경과 교원 수가 9명으로 늘어나고 전공의도 선발하기 시작하면서 근무하기 좋은 병원으로 발전하고 있다.